728x90 여류시인 시작(女流詩人 詩作)44 松都(송도) 송도 한시여정(漢詩旅程) 黃眞伊(황진이, 1506~1567,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진랑(眞娘), 명월(明月)) 눈 내리는 가운데 전대 왕조의 색이 서려있고 차디찬 종소리는 옛 나라의 소리로 울리네 남쪽 누각에서 홀로 수심 겨워 서 있는데 남아 있는 성곽에 저녁연기 피어 오르네. 雪中前朝色(설중전조색) 寒鐘故國聲(한종고국성) 南樓愁獨立(남루수독립) 殘廓暮烟香(잔곽모연향) 2023. 3. 10. 奉別蘇判書世讓(봉별소판서세양) 한시여정(漢詩旅程) 黃眞伊(황진이, 1506~1567,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진랑(眞娘), 명월(明月)) 달빛 아래 오동나무 잎 다하여 지고 서리 맞은 들국화는 노랗게 물들었네 누각은 높아 하늘과 한 척간인데 사람은 취하여도 술은 천 잔이네 흐르는 물은 거문고 소리와 어울려 맑고 매화꽃은 피리 소리에 서려 향기로워라 내일 아침 서로 이별한 뒤에 그리운 정은 푸른 물결처럼 오래되겠네 月下梧桐盡(월하오동진) 霜中野菊黃(상중야국황) 樓高天一尺(누고천일척) 人醉酒千觴(인취주천상) 流水和琴冷(유수화금랭) 梅花入笛香(매화입적향) 明朝相別後(명조상별후) 情與碧波長(정여벽파장) 2023. 3. 10. 相思夢(상사몽) 한시여정(漢詩旅程) 黃眞伊(황진이, 1506~1567,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진랑(眞娘), 명월(明月)) 서로 사모하며 만나는 건 다만 꿈에 기댈뿐이어 내가 임 찾으러 갈 때 임은 나를 찾아왔네 바라노니 아득히 먼 다른 날 밤 꿈에 같은 때 같이 행하여 길가는 도중에서 만나기를 相思相見只憑夢 (상사상견지빙몽) 儂訪歡時歡訪儂 (농방환시환방농) 願使遙遙他夜夢 (원사요요타야몽) 一時同作路中逢 (일시동작로중봉) ※ 相思夢(상사몽): 남녀 사이에 서로 사랑하고 사모하여 꾸는 꿈 ※ 歡(환): 기쁘다, 사랑하다, 기쁨, 사랑(임) ※ 遙遙(요요): (시간이나 거리 따위가) 멀고 아득함 2023. 3. 10. 閨恨(규한) 한시여정(漢詩旅程) 李玉峯(이옥봉, 본명 이숙원, 조선중기의 여류시인) 평생 이별의 한이 이 몸의 병이 되어 술로도 고치지 못하고 약으로도 다스리지 못하네 얼음 밑 흐르는 물과 같이 이불속 눈물도 흐르나니 밤낮으로 길게 울어도 사람들은 알지 못하리 平生離恨成身病(평생이한성신병) 酒不能療藥不治(주불능료약불치) 衾裏泣如氷下水(금리읍여빙하수) 日夜長流人不知(일야장류인부지) ※ 빙하수(氷下水): 얼음 밑을 흐르고 있는 물 2023. 3. 10. 閨情(규정) 한시여정(漢詩旅程) 李玉峯(이옥봉, 본명 이숙원, 조선중기의 여류시인). 돌아오신다는 약속하시고 어이 늦으시나요 뜰 앞의 매화꽃은 지려고 하는 이때에 갑자기 나뭇가지 위의 까치소리 듣고서 부질없이 거울 보며 눈썹 그려 봅니다 有約來何晩(유약래하만) 庭梅欲謝時(정매욕사시) 忽聞枝上鵲(홀문지상작) 虛畵鏡中眉(허화경중미) 2023. 3. 10. 折花(절화) 한시여정(漢詩旅程) 三宜堂 金氏(삼의당 김씨, 1769-1823) 가만히 창밖을 걸으니 창밖엔 해가 길기도 하구나 꺾은 꽃을 아리따운 머리에 꽃으니 벌과 나비도 서로 엿보며 지나가네 從容步窓外(종용보창외) 窓外日遲遲(창외일지지) 折花揷玉鬢(절화삽옥빈) 蜂蝶過相窺(봉접과상규) ※ 折花(절화): 가지째 꺾은 꽃 ※ 從容(종용): 조용하다, 침착하다, 조용의 원말 ※ 遲遲(지지): 해가 긴 모양, 더디고 더딤 ※ 옥빈(玉鬢): 옥 같은 귀밑머리라는 뜻으로, 젊고 아리따운 여자의 얼굴을 이르는 말 2023. 3. 9. 郎君去後(낭군거후) 한시여정(漢詩旅程) 雪竹(설죽, 본명 얼현(孼玄), 자호는 취죽(翠竹), 조선 중기) 낭군 떠나간 뒤 소식이 끊어져 방초절에 청루에서 홀로 잠드네 촛불 꺼진 비단창에서 한없이 훌쩍이네 두견새 울고 지는 배꽃에 달 비친 밤에 郎君去後音塵絶(낭군거후음진절) 獨宿靑樓芳草節(독숙청루방초절) 爥盡紗窓無限啼(촉진사차무한제) 杜鵑叫落梨花月(두견규락이화월) ※ 音塵(음진): 소식, 기별 ※ 獨宿(독숙): 혼자 잠, 과부로 지냄 ※ 芳草(방초): 향기롭고 꽃다운 풀 ※ 紗窓(사창): 깁(고운 견직물)으로 바른 창 2023. 3. 8. 早春(조춘) 한시여정(漢詩旅程) 雪竹(설죽, 본명 얼현(孼玄), 자호는 취죽(翠竹), 조선 중기) 봄비 내리니 배꽃은 하얗게 피고 봄바람 부니 버들개지 노랗게 피네 누구 집에서 옥피리를 부는가 흩날리고 떨어지는 매화 향기여 春雨梨花白(춘우이화백) 東風柳色黃(동풍류색황) 誰家吹玉笛(수가취옥적) 搖揚落梅香(요양낙매향) ※ 玉笛(옥적): 옥(玉)으로 만든 대금 비슷하게 만든 피리 2023. 3. 8. 春日卽事(춘일즉사) 한시여정(漢詩旅程) 雪竹(설죽, 본명 얼현(孼玄), 자호는 취죽(翠竹), 조선 중기) 푸른 잎 나무에 누런 앵무새 우짖고 기생집에 보랏빛 제비가 분주히 나네요 향기로운 바람은 숲의 나무에 흔들리고 꽃잎은 비단 치마에 흩날리네요 綠樹黃鸚喚(록수황앵환) 靑樓紫燕忙(청루자연망) 香風動林木(향풍동림목) 花落撲羅裳(화락박라상) ※ 靑樓(청루): 창기(娼妓)나 창녀들이 있는 집 ※ 羅裳(나상): 얇고 가벼운 비단으로 만든 치마 2023. 3. 8.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