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969 富士山(부사산) 후지산 Mount Fuji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얼굴에 하얀 분칠한 여신 이따금 하얀 면사포를 하고 수줍어 하네 밝은 다섯 호수로 즐거운 마음을 표현하고 여덟개의 연못의 물에 맑은 눈물을 흘리네 容上抹白粉女神(용상말백분녀신) 有時白面紗害羞(유시백면사해수) 用光五湖表喜心(용광오호표희심) 流淸淚於八池水(류청루어팔지수) ※ 有時(유시): 종종, 때로(는), 이따금 ※ 面紗(면사): 면사포 ※ 害羞(해수): 부끄러워하다, 수줍어하다 2023. 6. 14. 山齋(산재) 산속 집 Mountain house 한시여정(漢詩旅程) 河島皇子(가와시마노 미코, 657 ~ 691, 천지왕(天智王)의 둘째 아들) 속세를 벗어난 산속 집에 사철의 경치 가득하고 숲속에는 철 따라 변하는 모습이 명확하네 청풍명월이 편안히 사귀는 자리이니 소나무와 계수나무처럼 우정을 기약하세 塵外年光滿(진외년광만) 林間物候明(임간물후명) 風月澄遊席(풍월징유석) 松桂期交情(송계기교정) ※ 山齋(산재): 산속에 지은 서재나 운치 있게 지은 집 ※ 塵外(진외): 속세의 번거로움을 벗어난 곳 ※ 年光(연광): 변하는 사철의 경치, 지나가는 날이나 달이나 해 ※ 林間(임간): 수풀 사이 또는 숲속 ※ 물후(物候): 철이나 기후에 따라 변화하는 만물의 상태 ※ 風月(풍월): 청풍과 명월, 아름다운 자연 ※ 交情(교정): 사귀.. 2023. 6. 13. 謝赫扎耶德大淸眞寺(사혁찰야덕대청진사) 아부다비 셰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 Sheikh Zayed Grand Mosque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하얀 사랑과 함께 하얀 세상으로 향하니 마음이 희어지니 그림자조차 희어지네 온 세상이 하얀 마음으로 모두 가득하니 하얀 사랑의 꽃이 여기 저기 만발하네 與暠愛向暠世界(여고애향고세계) 心變皓連影變斯(심변호련영변사) 世界充滿都白心(세계충만도백심) 皎愛花滿發到處(교애화만발도처) ※ 淸眞寺(청진사): 이슬람교 사원 ※ 白心(백심): 결백(潔白)한 마음 2023. 6. 12. 夏夜(하야) 여름 밤 Summer night 한시여정(漢詩旅程) 湘夢 江馬細香(쇼몽 에마사이코, えまさいこう, 1787~1861, 에도 말기의 여류시인, 화가) 비 갠 뜰에는 대나무 바람 많이 불고 눈썹 같은 초승달은 가는 모습으로 기울고 있네 깊은 밤임에도 서늘하지 않아 창을 닫지 아니하니 자귀나무 꽃의 은은한 향기 베개에 스며드네 雨晴庭上竹風多(우청정상죽풍다) 新月如眉纖影斜(신월여미섬영사) 深夜貧凉窓不掩(심야빈량창불엄) 暗香和枕合歡花(암향화침합환화) ※ 新月(신월): 초승달, 음력 초하룻날 보이는 달 ※ 暗香(암향): (어디선지 모르게 풍겨 오는) 은은한 향기 ※ 합환(合歡): 모여서 기쁨을 함께함, 자귀나무(合歡樹,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 2023. 6. 11. 風鈴草(풍령초) 초롱꽃 Bellflower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산기슭 풀밭에서 자라는 서러운 민초들의 약재 나물 수줍어 밑을 향하며 피는 꽃 여러 초롱들이 가지마다 달려 있네 슬픈 누이의 전설이 있어서 초롱마다 슬픈 옛 이야기를 걸고 있네 초롱마다 사연을 품고 있어 곳곳에 마음속 빛이 빛나고 있네 生長山脚下草地(생장산각하초지) 悲傷民草之藥菜(비상민초지약채) 害羞向下綻放花(해수향하탄방화) 多燈籠掛在枝枝(다등롱괘재지지) 有傷心姐姐傳說(유상심저저전설) 每燈籠掛悲故事(매등롱괘비고사) 每燈籠裡有事緣(매등롱리유사연) 心裡光照耀到處(심리광조요도처) ※ 山脚(산각): 산기슭, 산의 비탈이 끝나는 아랫부분 ※ 民草(민초): ‘백성’을 질긴 생명력을 가진 잡초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悲傷(비상): 마음이 슬프고 쓰라림 ※ .. 2023. 6. 10. 절화행(折花行) 꽃을 꺾는 노래시 樂府詩體(악부시체) A song that picks flowers 한시여정(漢詩旅程)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삼혹호선생, 고려 중기의 문신,1168~1241) 진주구슬 같은 이슬 머금은 모란꽃 미인이 꺽어들고 창 앞을 지나가네 미소 지우며 낭군에게 묻기를 꽃이 낫나요 첩 모습이 낫나요 낭군이 일부러 장난치기를 꽃가지의 아름다움이 더 낫다고 하네 미인은 꽃의 이김에 시기해서 꽃가지를 밟아 흩뜨리고서는 꽃이 만약 첩보다 낫거든 오늘밤은 꽃과 함께 주무세요 牡丹含露眞珠顆(모란함로진주과) 美人折得窓前過(미인절득창전과) 含笑問檀郞(함소문단랑) 花强妾貌强(화강첩모강) 檀郞故相戱(단랑고상희) 强道花枝好(강도화지호) 美人妬花勝(미인투화승) 踏破花枝道(답파화지도) 花若勝於妾(화약승어첩) 今宵花同宿(금소화동숙).. 2023. 6. 9. 蝴蝶舞(호접무) 나비 춤 Butterfly dance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아름답고 넓은 날개 드레스 현란한 왈츠로 춤추며 흩날리네 눈부신 대칭의 날개 무늬 속에 춤으로 사랑의 가루를 보내려고 하네 美麗寬翼連衣裙(미려관익련의군) 絢爛華爾茲飛舞(현란화이자비무) 耀眼對稱翼紋中(요안대칭익문중) 要送愛鱗粉用舞(요송애린분용무) ※ 連衣裙(연의군): (여성복의 일종인) 원피스 ※ 絢爛(현란): 눈이 부시도록 찬란함 ※ 華爾茲(화이자): [음역어] 왈츠(waltz) ※ 飛舞(비무): 춤추며 날다, 춤추듯이 공중에 흩날리다 ※ 耀眼(요안): 눈부시다 ※ 鱗粉(인분): 나비의 날개에 있는 가루나 비늘 모양의 분비물 2023. 6. 8. 詠井中月(영정중월) 우물 속 달을 읊다 Reciting the moon in the well 한시여정(漢詩旅程) 白雲居士 李奎報(백운거사 이규보, 삼혹호선생, 고려 중기의 문신, 1168~1241) 산의 스님은 달빛을 탐하여 물과 함께 한 병 속에 길어 가네 절에 도착하여 바야흐로 깨달으네 병 기울이면 달 역시 없어짐을 山僧貪月色(산승탐월색) 竝汲一甁中(병급일병중) 到寺方應覺(도사방응각) 甁傾月亦空(병경월역공) ※ 汲(급): (물을)긷다, 푸다 2023. 6. 7. 在垈田裡(재대전리) 텃밭에서 In the vegetable garden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근대 옆에 상추 오이 옆에 가지 나물들은 절친한 친구가 되어서 정다운 채소밭이 되네 莙荙旁萵苣(군달방와거) 青瓜邊茄子(청과변가자) 菜成為友好(채성위우호) 變成情菜地(변성정채지) ※ 垈田(대전): 텃밭 ※ 莙荙(군달): 근대, 萵苣(와거): 상추 ※ 青瓜(청과): 오이, 茄子(가자): 가지 ※ 成為(성위): ∼으로 되다 ※ 友好(우호): 벗으로 사귐, 절친한 친구 ※ 變成(변성): 변하여 ∼이 되다 ※ 菜地(채지): 채소밭 2023. 6. 6. 이전 1 ··· 73 74 75 76 77 78 79 ··· 108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