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그림 관련 한시(繪畵 關聯 漢詩)17

山居夜坐(산거야좌) 산에 살며 밤에 앉아서 Living in the mountains and sitting at night회화(繪畵) 관련: 月下聽松圖(월하청송도)│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조선18세기, 지본수묵담채│2024.10.12. 시의도 책에서 찍은 사진(윤철규 지움)※ 단원(檀園)은 그림 속 결구(結句)에서 독좌(獨坐)대신 묵좌(默坐)로 씀※ 위 그림 오른쪽 호 丹邱(단구)는 김홍도가 50세 이후에 사용한 호한시여정(漢詩旅程)北窓 鄭磏(북창 정렴, 1506~1549, 조선 전기의 학자, 자(字) 사결(士潔), 장악원 주부와 관상감, 혜민서의 교수를 역임)  문장이 세상을 놀라게 해도 다만 누가 되고부귀가 하늘에 닿을 정도라도 실없는 수고이네어찌 적막한 밤 산창에서향 피우고 홀로 앉아 솔바람 소리 듣는 것만 하리오 文章驚世徒爲累(문장경.. 2024. 11. 5.
戀心(연심) 사모하는 마음 Longing heart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연한듯 짙은 듯 나풀거리는 핑크빛 고운 선율에 따라 드리워진 아름다운 실 아무런 말도 없이 이토록 화려하게 왜 이리 오래토록 나를 바라 보고 있나요 淺與深飄動粉紅(천여심표동분홍) 沿麗旋律繠美縷(연려선률예미루) 不言而如此華麗(불언이여차화려) 爲何看著我這久(위하간저아저구) A light, dark, fluttering pink color A beautiful thread draped along a fine melody So splendidly without saying a word Why are you looking at me for so long? ※ 戀心(연심):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마음 ※ 飄動(표동): 나풀거리다 ※ 旋律(선률): 소리의.. 2023. 12. 16.
題道士蔣暉壁(제도사장휘벽) 도사 장휘의 벽에 쓰다 Taoist Zhang Hui write on the wall ※ 단원의 위 그림 오른쪽 화제시(畵題詩)는 여동빈의 제도사장휘벽 결구(結句)임 ※ 위 그림 오른쪽 호 丹邱(단구)는 김홍도가 50세 이후에 사용한 호 한시여정(漢詩旅程) 純陽子 呂洞賓(순양자 여동빈, 중국의 신선인 팔선 중 한 사람, 오대 송나라 초기, 본명은 呂巖(여암)) 바다 위 산에서 술에 취해 춤추고 큰소리로 노래하며 하늘 바가지에 이슬을 받아 불사영약을 짓네 밤 깊어지고 학이 지나간 가을하늘은 푸른데 멀고 먼데서 불어온 가을바람에 장검이 시리구나 醉舞高歌海上山(취무고가해상산) 天瓢承露結金丹(천표승로결금단) 夜深鶴透秋空碧(야심학투추공벽) 萬里西風一劍寒(만리서풍일검한) Dancing drunk on the mountain above t.. 2023. 9. 28.
草書 五言絕句(초서 오언절구) 초서 오언절구 Cursive script of five character quatrains ※ 한시의 내용 상 고균이 일본에서 고향을 그리며 지은 자작시로 추정됨 한시여정(漢詩旅程) 古筠 金玉均(고균 김옥균, 갑신정변 주도, 조선 말기 정치가, 1851~1894) 붉은 열매 산 아래 펼쳐지고 맑은 향기 눈으로 다시 흩어지네 봄바람으로 물은 고향집을 향하니 나그네 생각 버들개지를 쫓아가네 朱實山下申(주실산하신) 淸香雪更散(청향설갱산) 春風水望家(춘풍수망가) 客思逐楊花(객사축양화) The red fruit spreads under the mountain The clear scent scatters again with snow The water goes to my hometown by the spring breeze Tho.. 2023. 9. 20.
黃精鹿(황정록) 황정과 사슴 Hwangjeong and deer 한시여정(漢詩旅程) ※ 단원의 위 그림 오른 쪽 제시(題詩)는 소식의 황정록 결구(結句)임 東坡居士 蘇軾(동파거사 소식, 字는 子瞻(자첨), 1036~1101) 태화산 서남쪽에 몇 번째 봉우리인가 떨어진 꽃잎은 흐르는 물에 절로 겹겹이 떠가네 은자는 단지 황정만 캐러 갈 뿐 봄 산 사슴의 기른 녹용은 보지 않네 太華西南第幾峰(태화서남제기봉) 落花流水自重重(낙화류수자중중) 幽人只采黃精去(유인지채황정거) 不見春山鹿養茸(부견춘산록양용) What number is the peak on the southwest side of Mount Taehwa? Fallen petals float in layers on their own in the flowing water Hermit o.. 2023. 8. 23.
終南別業(종남별업) 종남산 자락 별장 ※ 단원의 위 그림 왼쪽 제시(題詩)는 소식의 황정록 전구(轉句)임 Cottages at the foot of Jongnam Mountain 한시여정(漢詩旅程) 詩佛 王維(시불 왕유, 당나라 시인, 700∼761) 중년에는 자못 도를 좋아하여 노년에 집을 남산 부근에 잡었네 흥이 나면 매양 홀로 가니 좋은 일은 혼자만이 안다네 다니다가 물 다하는 곳에 이르러 앉아서 구름 이는 때도 보노라 우연히 나무하는 노인 만나 담소하며 돌아갈 때를 잊는다네 中歲頗好道(중세파호도) 晩家南山陲(만가남산수) 興來每獨往(흥래매독왕) 勝事空自知(승사공자지) 行到水窮處(행도수궁처) 坐看雲起時(좌간운기시) 偶然値林叟(우연치림수) 談笑無還期(담소무환기) In middle age, he fell in love with Taoism .. 2023. 8. 17.
椰子樹(야자수) 야자나무 회화(繪畵) 관련: 椰子樹(야자수) Palm tree | 2022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짙은 남색빛 하늘과 에메랄드빛 바다를 향해서 유연하게 곧은 야자수 나무들이 이어져 있네 스스로의 빛으로 하늘을 향한 꿈이 있어 스스로 치장하면서 단단한 코코넛을 품고 있네 向湛藍天翠綠海(향담람천취록해) 一連靈活直椰子(일련령활직야자) 用自光向天夢有(용자광향천몽유) 自治粧抱硬椰子(자치장포경야자) ※ 椰子(야자): 야자나무, 야자나무의 열매 ※ 湛藍(담람): 짙은 남색의, 짙푸르다 ※ 一連(일련): 하나로 이어지는 것 ※ 靈活(령활): 융통성이 있다, 신축성이 있다 ※ 治粧(치장): 잘 매만져 곱게 꾸밈 2023. 5. 5.
桔梗花(길경화) 도라지꽃 회화(繪畵) 관련: 도라지꽃(桔梗花) Balloonflower | 2022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맑고 예쁜 별 모양의 연보랏빛 꽃 한 여름에 여린 몸으로 꽃을 피우네 가고 오지 않는 님이 누구시길레 하염없이 기다리다 꽃이 되었는가 淸秀星形淡紫花(청수성형담자화) 盛夏花開嬌嫩己(성하화개교눈기) 去而不來郎是誰(거이불래랑시수) 無盡待成爲花嗎(무진대성위화마) ※ 淸秀(청수): 용모가 맑고 빼어나다, 뛰어나게 아름답다 ※ 嬌嫩(교눈): 여리다, 가냘프다, 연약하다 ※ 成爲(성위): ~으로 되다 2023. 4. 30.
白牆上爬山虎畫(백장상파산호화) 흰벽의 담쟁이덩굴 그림 Ivy painting on white wall 한시여정(漢詩旅程) 皓石(호석) 권오채 겨울 동안 그대는 흑백의 그림를 그리고는 봄 동안 그 위에 어린 잎을 그리네요 이 밖에 녹색의 꽃과 덩굴손을 그리고 다시 가을 철에는 붉은 단풍을 그려내네요 冬期汝繪黑白畫(동기여회흑백화) 春間此上繪嫩葉(춘간차상회눈엽) 此外描綠花卷鬚(차외묘록화권수) 復秋間畫紅色葉(부추간화홍색엽) ※ 嫩葉(눈엽): 어린 잎 ※ 冬期(동기): 겨울 동안, 겨울 철 ※ 春間(춘간): 봄 사이, 봄 동안 ※ 卷鬚(권수): 덩굴손 2023. 4. 4.
728x90
LIST